computer algorithm 2

[컴퓨터 알고리즘] in place / not in place 정렬 알고리즘

In place vs not In place Algorithm in place 정렬은 원소들의 개수에 비해 충분히 무시할 만한 저장 공간만을 더 사용하는 정렬 알고리즘 not in place 정렬은 원소들의 개수에 비례하여 저장 공간을 더 사용하는 정렬 알고리즘 sentinel value란? -. 더 이상의 처리 또는 사용 할 데이터가 없는 걸 나타내기 위한 값 e.g. merge sort에서 2개의 list 내의 끝에 위치한 값을 ∞로 설정하기도 한다. https://velog.io/@cookncoding/%EC%95%8C%EA%B3%A0%EB%A6%AC%EC%A6%98-%EA%B0%9C%EB%85%90-Stable-Sort-Inplace [알고리즘 개념] Stable Sort &Inplace 컴퓨터 ..

[컴퓨터 알고리즘] 시간 복잡도 기본

▶ 시간 복잡도 표기 종류 Best case Average case Worst case -.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은 Big-O 표기법을 사용 Big-O - 최악의 경우를 나타냄 (상한 접근) O(n): 최악의 경우 n번까지 수행되면 프로그램을 끝낼 수 있다. Big-Omega - 최적의 경우를 나타냄 (하한 접근) O(n): 최소 n번은 수행되어야 프로그램을 끝낼 수 있다. Theta - 평균 (Big-O 와 Big-Omega값의 평균값) ▶ 시간 복잡도 다른 표현 방법 T(n) Every-case anlaysis 입력크기(input size)에만 종속 입력값과는 무관하게 결과값은 항상 일정 W(n): Worst-case analysis 입력크기와 입력값 모두에 종속 단위연산이 수행되는 횟수가 최대인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