📌 타이틀은 핵심을 포착하라! - Abstract
논문의 주제와 가장 중요한 결과 혹은 발견을 간략하게 포함시켜 독자가 한 눈에 어떤 내용인지 파악 하게 작성
📌 '소개'란에는 문제의 배경을 명확히! - Introduction
왜 이 문제가 중요한지, 어떤 도전과제들이 있었는지 간략하게 소개 (핵심적인 방법린 및 알고리즘)
📌 '관련 연구'란에서는 다양성을! - Related works
여러 논문들의 주요 아이디어와 장단점을 간략하게 비교하며, 리뷰하는 논문이 어디에 위치하는지 티스토리 독자들에게 명확하게 작성
📌 '방법론'란에서는 그림을 활용하자! - Method
복잡한 알고리즘, 구조 등은 그림, 플로우차트, 그림 설명 등을 활용해서 간단하게 표현해 주세요. 그림 하나가 긴 설명을 대체 가능하게...
📌 '실험'란에서는 결과를 강조! - Experiment
논문에서 가장 주요한 실험 결과를 강조하되, 그 결과의 의미와 중요성도 함께 설명
📌 '토론'란에서는 장단점을 명확히! - Discussion
논문의 핵심 발견 및 한계점을 구체적으로 명시하고, 향후 또는 현재 트렌드에 맞게 어떤 연구가 진행될 수 있을지에
대한 짧은 예측 or 제안
📌 '결론'에서는 한눈에! - Conclusion
전체 리뷰의 핵심 내용을 3~4줄로 요약, 해당 내용에는 논문이 등장하기 까지의 배경 및 제안한 방법론과 성능, 산업군 등..
📌 관련 자료/링크 첨부! - Paper, BenchMark Dataset
Papers with Code - The latest in Machine Learning
Papers With Code highlights trending Machine Learning research and the code to implement it.
paperswithcode.com
NLTK :: Natural Language Toolkit
Natural Language Toolkit NLTK is a leading platform for building Python programs to work with human language data. It provides easy-to-use interfaces to over 50 corpora and lexical resources such as WordNet, along with a suite of text processing libraries
www.nltk.org
spaCy · Industrial-strength Natural Language Processing in Python
spaCy is a free open-source library for Natural Language Processing in Python. It features NER, POS tagging, dependency parsing, word vectors and more.
spacy.io
// 참고 사이트
https://gradschoolstory.net/terry/readingpapers/#%EB%A7%88%EB%AC%B4%EB%A6%AC
영어 못해도 논문 잘 읽는 법 – 대학원생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
‘그 발번역 정말 못읽겠더라. 차라리 원서 읽어.’ ‘맞아맞아~ 어떻게 한글이 영어보다 어렵니? 원서가 훨씬 쉬운 듯’ 대학생 초년 시절, 영어가 너무 벅찬던 내가 운좋게 번역본이라도 구해
gradschoolstory.net
'Computer Science > 대학원 기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신경 정보 처리 - midterm examination / 5월 9일(화) (0) | 2023.05.17 |
---|---|
[인공지능개론] Fisher Discriminant Analysis - FDA (0) | 2023.04.26 |
[컴퓨터 알고리즘] in place / not in place 정렬 알고리즘 (0) | 2023.04.13 |
[컴퓨터 알고리즘] 시간 복잡도 기본 (1) | 2023.04.12 |
[Computer Vision] Histogram Equalization (0) | 2023.03.25 |